티스토리 뷰
목차
과거 대출 상환 연체 이력을 삭제해 주는 신용 사면 조치가 2024년 3월 12일 시행됩니다. 뿐만아니라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채무조정을 받은 정보 이력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됩니다.
아래 신용 사면 대상자 확인 바로가기 버튼을 누르시면 나이스지키미 신용 사면 대상자 확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용 사면 대상자, 신용 사면 혜택과 더불어 신용 점수 올리는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용 사면 대상자
신용 사면 대상자의 충족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체 발생 기간: 2021. 9월 ~ 2024. 1월
- 연체 금액: 2천만원 이하
- 상환 여부: 2024. 5월까지 전액 상환
위 조건을 만족하면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자동으로 신용 사면 대상자로 선정되어 점수가 상승합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신용 사면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나이스지키미 신용 사면 대상자 확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신용 사면 혜택
저금리 대출 갈아타기 가능
신용 사면 지원 적용자 264만 명 신용 평점이 평균 37점이 올랐습니다. 높아진 신용 점수로 현재 이용하고 있는 대출의 금리보다 더 낮은 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발급 가능
신용카드 발급 최저 신용 점수는 645점입니다. 이번 신용 사면으로 인해 15만명이 신용카드를 발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은행권 대출 접근 가능
은행권 신규대출 평균 신용 점수는 863점입니다. 이번 신용 사면으로 26만명이 은행권 대출 평균 신용 점수를 넘게 되었습니다.
신용 점수 올리기 방법 5가지
1. 신용카드 한도액 조절
카드사 최대 한도액으로 설정해 놓은 다음 한도액의 30~50% 정도를 사용하면 신용 점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
2.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받을 때는 한 번에 많이 받기
웬만하면 이용하지 않는 것이 상책이지만, 받을 거면 한 번에 많이 받는 것이 낫습니다. 적은 금액씩 자주 이용하게 되면 돌려막기를 하는 중이라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용평가사가 '이 사람이 돈이 없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오래된 신용카드 해지하지 말기
신용카드를 해지할 때는 최근에 발급한 것부터 없애는 게 좋습니다. 오랫동안 사용한 신용카드에는 오랜 시간 잘 상환한 이력이 남아있는데, 해지하시면 이 기록도 같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4. 체크카드 꾸준히 사용하기
월 30만원 이상, 6개월 이상 사용하거나 6개월 ~ 12개월 동안 꾸준히 사용할 경우 최대 40점까지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마이너스 통장 한도는 여유 있게 사용하기
마이너스통장 한도 소진율이 3개월 동안 계속 높으면 신용 점수가 하락합니다. 마이너스통장은 대출 한도의 30~40%만 쓰는 게 좋습니다. 그 이상을 썼다면 3개월 이내에 갚아서 한도액의 30~40%로 대출액을 유지하는게 신용 점수에 도움이 됩니다.
신용 등급 점수표
신용등급이라는 제도가 사라지고 현재는 신용 점수로만 신용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별다른 의미가 없습니다만, 참고용으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등급 | NICE 신용점수 | KCB 신용점수 |
1등급 | 900점~1000점 | 942점~1000점 |
2등급 | 870점~899점 | 891점~941점 |
3등급 | 840점~869점 | 832점~890점 |
4등급 | 805점~839점 | 768점~831점 |
5등급 | 750점~804점 | 698점~767점 |
6등급 | 665점~749점 | 630점~697점 |
7등급 | 600점~664점 | 530점~629점 |
8등급 | 454점~529점 | 515점~599점 |
9등급 | 445점~514점 | 335점~453점 |
10등급 | 0점~444점 | 0점~334점 |
여기까지 신용 사면 대상자, 혜택, 신용 점수 올리는법, 신용 등급 점수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신용 사면으로 대상자 264만 명의 신용평점이 평균 37점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신용회복지원대상의 신용 평점이 20대 이하의 경우 47점, 30대의 경우 39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신용 사면 조치가 청년층의 재기 지원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신용 사면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금융위원회 금융데이터정책과(02-2100-2625), 나이스평가정보(02-2122-4573), 한국신용정보원 신용데이터부(02-3705-5911)로 하시길 바랍니다.